프리랜서로 살다보니 자기 소개할 일이 간혹 생긴다. 

당연하지만 처음에는 이름부터 교환한다. 그리고 질문이 이어진다. “하시는 일이?” “작가요.” “소설? 그림?” “소설가.” “주로 뭘?” “과학소설.” 이쯤에서는 머리를 굴리는 소리가 들린다. “출간된 책 같은 거 있나요? 작품 이름이? 혹시 뭐 어디서 상이라도?” 보통은 이렇게 진행한다. 나이나 사는 곳에 대한 질문이 나올 때도 있고 나오지 않을 때도 있고. 

사람이 자신을 소개할 때에는 가장 중요한 정보에서부터 시작해서 사소한 것 순으로 알려준다. 상대방이 시간을 들여 들어주는 상황이라면 시간 순으로 하기도 한다. “에, 그러니까 처음에 왜 작가가 되고 싶었냐면요.”


작가 이력은 모르는 사람 앞에서 하는 첫 자기소개다. 본인이 직접 하지 않는다면 번역가나 그를 추천하는 사람이 대중 앞에서 소개하는 작은 자리다. 


로저 젤라즈니의 이력은 대개 이렇게 시작한다. “신화적이고 환상적인 SF를 쓰죠.” 혹은 이렇게 시작한다. “어렸을 때부터 신화와 전설을 엄청 봤다더라고요.” 어슐러 르귄은 이렇게 시작한다. “SF에서 노벨상이 나온다면 첫째 후보라고 불리는 분이죠.” 혹은 이렇게 시작한다. “아버지가 인류학자고 어머니가 동화작가예요.” 필립 K. 딕은 이렇게 시작한다. “태어나자마자 쌍둥이 누이가 죽었다더라고요.” 그리고 줄줄이 이어진다. “그때부터 영 사람이 안 좋더니 나이 들어서도 강박증에 마약에, 이혼도 다섯 번이나 했다니까요. 평생 소설은 썼는데 잘 안 됐죠. 죽기 직전에야 좀 살 만해졌다니까.” 

그들의 첫 인사는 그 사람에 대한 가장 인상적인 이야기거나, 작가가 된 계기거나, 그 작가가 추구한 화두의 근원이며 시작이 되는 정보다. 나는 이런 소개를 들으며 대충 그 책의 분위기를 예상한다. 책을 보고 나서는 다시 한 번 고개를 끄덕인다. “아이구, 어쩐지.”


나는 전에 프로필을 쓰려고 책의 날개를 하나하나 훑어보다가 몹시 이상한 기분에 빠진 적이 있다. 외국인 저자의 첫인사는 이토록 제각각이건만, 한국인 저자의 첫인사는 한결같았기 때문이었다.

“이 책 쓰신 분이군요. 뭐 하시는 분인가요?”

“예, 저는 XX대학 XX학과를 졸업했습니다.”

“뭐잉?”

몇 권 살펴보다가 기묘한 기분이 들어 그날 집에 있는 책날개를 전부 뒤져보았다. 그날 나는 일치단결한 목소리로 ‘예, 저는 XX대학 XX학과를 졸업했습니다.’ 하고 외치는 저자의 물결에 꽤나 지치고 말았다.


학교 이름 쓰지 않을 이유야 사실 없다. 자기 이력인데. 내가 뭘 좋아하고 우리 집 강아지가 얼마나 귀여운지 같은 것도 쓸 수 있는데 학교 이름 못 쓸 게 뭐가 있나. 나도 쓰기도 했고 별로 이상할 건 없는 일이다. 그래도 대한민국의 그 많은 저자가 ‘하나같이’ 학교로 첫인사를 하는 건 참 이상한 풍경이 아닌가. 

최소한 당신 뭐 하는 사람인지 먼저 알려달라고. 

한국인 특성상 학교 졸업하기 전에는 다른 일 하기 힘들어서 시간 순으로 쓰는 거라고 생각해줄 수도 있겠지만 그렇다고 초등학교는 또 안 쓰잖아.





김보영

소설가.

단편집 『멀리 가는 이야기』 『진화신화』와 장편소설 『7인의 집행관』을 출간했다.

현재 강원도에서 가족과 함께 피망과 아삭이고추를 기르고 있다.

+ Recent posts